2026년 최저임금 결정에 따른 월급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2026년 최저임금이 시급 10,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. 전년 대비 2.9% 인상된 금액인데요, 이제 시급제 근로자나 아르바이트생들은 “그럼 내 월급은 얼마일까?”가 가장 궁금하실 겁니다. 2026년 최저임금 기준 월급 계산 방법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.

2026년 최저임금 결정내용
1. 2026년 최저임금 결정
- 한국의 최저임금 결정은 ‘최저임금위원회’에서 이뤄져요. 이 위원회는 노동자 대표, 사용자 대표, 공익위원으로 구성되며 정부(고용노동부)의 요청으로 올해 기준 3월 31일까지 논의를 시작합니다. 최종안은 6월 말까지 심의 의결되고, 8월 5일 고시되어 이듬해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.
- 이번 2026년 최저임금 결정은 17년만에 표결없이 노사 합의로 이루어져 의미가 있다고 해요.
- 2026년 최저임금은 2.9% 인상된 10,320원으로 결정됐습니다.
2. 2026년 최저임금 적용대상
- 최저임금은 모든 업종, 모든 직종, 모든 고용형태에 적용됩니다.
- 정규직, 비정규직, 아르바이트, 외국인 노동자, 청소년 근로자 모두 예외 없이 적용되며,
- 가족 고용(가족 간 단순 일) 등 극히 일부만 제외 대상입니다.
2026년 월급계산방법
1. 주 40시간 근무 시
- 월 환산 기준 시간: 209시간 (주 40시간 × 4.345주 = 약 174시간 + 주휴수당 35시간)
- 계산방식 : 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
- 월급: 약 2,156,880원
2. 주휴수당이 포함되는 경우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가 개근 시 주 1회 유급휴일을 받는 제도입니다. 주 40시간 기준 주휴수당은 주 8시간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- 계산방식 : 10,320원 × (주 40시간 + 주휴 8시간) × 4.345주 = 약 2,229,120원
- 월급: 약 2,229,120원
2026년 월급 예시
2026년 최저임금을 적용하여 근무형태별로 월급예시를 알아볼게요.
구분 | 월 근무시간(평균) | 월급(주휴 미포함) | 월급(주휴포함) |
주 40시간 | 174 | 1,795,680 | 2,229,120 |
주 30시간 | 130 | 1,341,600 | 1,666,800 |
주 20시간 | 87 | 897,840 | 1,113,840 |
주 15시 | 65 | 670,800 | 854,400 |
이상으로 2026년 최저임금 결정에 따른 월급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2026년 최저임금 시급 10,320원은 모든 근로자의 기본 시급 기준입니다. 내 근무시간과 주휴수당 여부에 따라 월급이 달라지니, 정확히 계산해서 임금 누락이 없도록 하세요.